framework 썸네일형 리스트형 struts configuration 스트러츠를 위한 web.xml 파일스트러츠 Application파일을 만들기 위한 작업이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다. 스트러츠 Configuration에 관여하는 파일이 많으며, Configuration 파일이 복잡한 것이 사실이다. 스트러츠 첫번째 강좌에서 스트러츠 Application을 만들기 위한 설치과정을 살펴보았다. 생각보다 많은 파일들이 스트러츠 Application을 만들기 위하여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각각의 Configuration파일을 설명하면서 스트러츠에 대하여 더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하겠다.스트러츠 Application을 만들기 위하여 우선 설정할 파일은 Web Application에 꼭 필요한 web.xml파일의 설정이다. 많은 개발자들이 web.xml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을 .. 더보기 struts - struts-config 설정 두번째 3-1에서 한 설정을 비롯하여 몇가지 사항을 좀더 추가해 보았다. 우선 1번 박스안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살펴보면 이름만 다를 뿐 3-1에서 설정한 것들의 반복이다.즉 게시판(보드)의 조회(list), 상세조회(read), 등록(regist) ,수정(edit), 삭제(delete)의 기능들을 설정해 놓은 것이다.그런데 바로 위의 3번박스를 보면 1번 박스의 설정과 뭔가 비슷해 보이면서도 살짝 다름을 알 수 있다. 1번 박스와 같은 설정및 사용도 가능하지만 3번 박스와 같은 설정및 사용도 가능하다.DispatchAction이란 유사한 액션을 하나의 DispatchAction에서 수행 할 수 있게 해준다.(DispatchAction 클래스는 struts-extras-1.3.10.jar 에 들어있다)1번 박스.. 더보기 struts - struts-config.xml 설정 파일복사와 web.xml 설정이 끝났다면 Struts의 설정이다앞서 복사해 놓은 struts-config.xml 파일을 열어보면 여러가지 설정과 주석이 보인다. 우선 다음과 같이 놔두고 다 지운다. (참고로 3라인의 쌩뚱맞은 '-->'는 주석처리를 잘 못지운 찌꺼기이기 때문에 알아서 봐주시길;;) 이제 빈칸을 다음과 같이 채워 넣어 가보자. 게시판에서 목록페이지(list)를 만들고자 한다. action 태그 안의 path 속성은 서블릿 경로를 지정하는 부분이며, 서블릿 매핑을 확장자 일치 방법을 사용할 경우 확장자 생략 가능하다. 앞서 *.do는 액션서블릿으로 모아주는 설정(web.xml에서) 해 놓았기 때문에 /board/list.do는 /board/list로 쓸 수 있다. type속성에는 실제 실행되.. 더보기 struts - web.xml 설정 파일의 복사가 끝났다면 이제 설정부분에 들어간다. 우선 서블릿 만들기를 선택한 후 생성창이 뜨면 하단에 있는 옵션을 선택한다 그 후 action이라 치면 ActionServlet이라 뜰 것이다. 이것을 선택하자. 여기서 url 맵핑은 *.do로 고치겠다.즉, '모든것.do' 로 요청되는 것들은 모두 Struts의 액션 서블릿으로 보낸다는 말이다.앞서 말했듯이 Struts는 서블릿의 관리를 위해 우선 처음에 무조건 하나의 통로(액션 서블릿)로 모은 후 각각의 액션(서블릿으로 보면 된다)으로 보낸다. Finish를 눌러 완료 후 WEB-INF 밑에 있는 web.xml파일을 확인해 보자.올바르게 됐다면 다음과 같은 설정이 추가되어 있을 것이다. [출처] Struts 간단 설정 2 - web.xml설정|작성자 .. 더보기 struts - 파일 복사 Struts는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설정을 비롯한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 쓸 수 있다.그래서 Struts를 쓰기위한 기본적인 설정을 해 보도록 하겠다.(참고로 Struts2가 아닌 Struts1이다) 우선 Struts를 다운 받아야 한다.다운을 받아야 한다면 http://struts.apache.org/download.cgi#struts1310 에서 struts-1.3.10-all.zip 파일을 다운 받은 후 적절한 곳에 압축을 풀어놓자. 압축을 풀고 폴더를 살펴보면 apps라는 폴더와 lib 폴더가 있을 것이다우선 lib폴더에 있는 struts-core-1.3.10.jar파일을 복사해서 쓰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에 추가한다.(개발툴은 이클립스를 사용했다. 참고로 자바웹프로젝트는 자바프로젝트와 달리.. 더보기 struts framework Model 2 분리의 초기에는 단순히 요청을 서블릿이 받고, 비지니스 로직을 서블릿에서 모두 시행한다음 그 결과를 다시 JSP 로 보내게 했다. 물론 지금에와서는 이 방법도 번거로워 보일 수 있으나, 이전의 Model 1 에 비교했을 때 그 복잡도가 대폭 감소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서블릿의 갯수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web.xml 설정 파일이 서블릿 갯수만큼 지저분해진다. 지저분해진다는 소리는 곧 남이 보기에(자신이 보기에도)어려워 진다는 소리다. 그래서 나온 것이 Struts다. Struts는 MVC 패턴에서 Controller 역할을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다. 기존에 서블릿마다 가닥 가닥 나누어 보내던 것을 Struts는 우선 모든 서블릿 요청을 하나로 모으고, 그 후에 기능에 맞는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