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코딩] MS949부터 유니코드까지 [인코딩] MS949부터 유니코드까지UHC = Unified Hangul Code = 통합형 한글 코드 = ks_c_5601-1987 이는 MS사가 기존 한글 2,350자밖에 지원하지 않던 KS X 1001이라는 한국 산업 표준 문자세트를 확장해 만든 것으로, 원래 문자세트의 기존 내용은 보존한 상태로 앞뒤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넣었다. (따라서 KS X 1001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가짐) 그럼, cp949는 무엇일까? cp949는 본래 코드 페이지(code page)라는 뜻이라 문자세트라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실제로는 인코딩 방식이다. 즉, MS사가 만든 "확장 완성형 한글 (공식명칭 ks_c_5601-1987) "이라는 문자세트를 인코딩하는 MS사 만의 방식인 셈이다. cp949 인코딩은 표준 인코딩.. 더보기 STS(Spring tool suite)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 방법 더보기 데이터 모델 정규화/반정규화의 실전 프로젝트 적용 데이터 모델 정규화/반정규화의 실전 프로젝트 적용이춘식정규화를 잘 이해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해야 하는 프로젝트 모델러가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검증되어 있고 체계화된 이론적 기반 위에 데이터베이스라는 기초를 건축하지 않으면 그 데이터베이스는 모래 위에 세운 집처럼 금방 무너지고 말 것이다. 정규화의 이론은 건축물의 기초공사를 해야 하는 사상에 해당한다. 그저 어렴풋이, 알듯 모를듯 희미한 기억의 지식으로 튼튼하고 견고한 데이터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없다.“붕어빵에 붕어가 없다!”고 한다. 데이터 모델링을 학교나 학원에서 배운 사람이나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모델링을 경험한 사람치고 정규화에 대한 이야기를 듣거나 이야기하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만큼 정규화의 이론..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