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썸네일형 리스트형 filter 서블릿 2.3에 새롭게 추가된 필터가 무엇이며,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필터!! 현재 서블릿 2.3 규약은 Proposed Final Draft 2 상태에 있다. 조만간 서블릿 2.3과 JSP 1.2 최종 규약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는 당연히 새롭게 추가된 것들이 무엇인지에 관심이 쏠리게 된다. 서블릿 2.3 규약에 새롭게 추가된 것 중에 필자가 가장 눈여겨 본 것은 바로 필터(Filter) 기능의 추가이다. 그 동안 필자는 서블릿 2.2와 JSP 1.1에 기반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동안 몇몇 부분에서 서블릿 2.2 규약의 부족한 면을 느낄 수 있었으며, 특히 사용자 인증 처리, 요청 URL에 따른 처리, XSL/T를 이용한 XML 변환(Transformation) 등 개발.. 더보기 web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란?: 웹 서버의 내부에서 서블릿 클래스 또는 JSP 파일을 실행하기 이한 실행환경을 재공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서블릿 클래스에 대한 웹 컨테이너를 서블릿 컨테이너, JSP 파일에 대한 웹 컨테이너를 JSP 컨테이너라고 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jsp와 서블릿을 사용한 웹서버는 크게 URL 주소의 해석을 맡아주는 HTTP 서버와 서블릿 또는 JSP 파일의 실행 요청을 처리해주는 웹 컨테이너로 구성됩니다. HTTP 서버: HTTP 서버는 단순히 어떤주소(URL)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그 주소에 미리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HTML 파일 혹은 이미지 등)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응답형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배포 서술자(Deployment Descriptor)란? :.. 더보기 JSP JSP 란?: Java Server Page의 약어로 Java를 이용한 동적인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Sun 사가 개발한 기술입니다.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HTML 형식의 문서만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적인 웹페이지, 즉 사용자의 요청에 맞는 결과를 표시해주는 웹 페이지를 웹 서버 측에서 사용자에게 전송해 주기 위해서는 요청의 처리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변화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말합니다. JSP 특징1. 강력한 이식성2. 서버자원이 효율적인 사용3. 간편한 MVC 패턴 적용 4. JSTL, 커스텀 태그 등을 이용한 개발의 용이성 더보기 Servlet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Servlet)은 Server Side Applet - 서버 사이드의 자바 응용 프로그램이란 뜻으로 단적으로 말하자면 웹 서버 상에서 실행되는 자바의 클래스 파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자바의 모든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블릿은 반드시 javax.servlet.Servlet 인터페이스를 구현(Implements)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서블릿과 자바 클래스 차이: 서블릿과 자바클래스의 다른 점은 입력과 출력을 HTTP 프로토콜의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의 형태로 다룬다는 점만 다를 뿐입니다. 서블릿(Servlet)의 동작 원리 : 서블릿은 서블릿 컨테이너라는 실행환경 하에서만 동작이 가능합니다. (1) 사용자의 URL 요청: 사.. 더보기 Web Server & Web Application Server Web Server & Web Application Server Web Server Web Application Server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Web Client(Browser)의 요청을 처리 담당, 주로 정적 컨텐츠를 처리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로 요청을 보내오면 그 명령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고 다시 사용자에게 답변을 보내주는 역할을 수행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World Wide Web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에게 미리 저장된 하이퍼 텍스트(Hypertext)를 제공하는 서버를 지칭 동적인 페이지 (jsp, asp 등)을 표현하기 위한 서버 웹 상에서 사용하는 컴포넌트들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 서버. (EJB와 Bean등이 올라가게 됨) 실제로 처리해야 되는 비즈니스 로직이 올라가서 웹 서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