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web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

: 웹 서버의 내부에서 서블릿 클래스 또는 JSP 파일을 실행하기 이한 실행환경을 재공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서블릿 클래스에 대한 웹 컨테이너를 서블릿 컨테이너, JSP 파일에 대한 웹 컨테이너를 JSP 컨테이너라고 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jsp와 서블릿을 사용한 웹서버는 크게 URL 주소의 해석을 맡아주는 HTTP 서버와 서블릿 또는 JSP 파일의 실행 요청을 처리해주는 웹 컨테이너로 구성됩니다.

 

HTTP 서버

: HTTP 서버는 단순히 어떤주소(URL)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그 주소에 미리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HTML 파일 혹은 이미지 등)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응답형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배포 서술자(Deployment Descriptor)?

 

웹 컨테이너에게 사용자가 지금 접근한 URL 주소가 서블릿 요청임을 인식하고 그 서블릿 클래스의 위치는 어디에 있다고 알려주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적혀 있는 파일입니다. 주로 web.xml 파일에 작성됩니다.

 

아래 화면을 통해 알아 보겠습니다.

 


 

위의 화면을 보시면 배포 서술자는 <sevlet> <servlet-mapping>로 구성됩니다.

<servlet-name> : <servlet> <servlet-mapping>을 연결해줄 수 있게 연결고리 같은 역할을 하며임의로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servlet-class> :  서블릿 클래스 파일을 호출할 수 하는 역할이며서블릿 클래스 파일의 위치와 클래스 파일명을 작성해줍니다.

<url-pattern> :  사용자가 요청한 URL의 주소형식이 명시된 URL 패턴과 동일한지 비교하는 역할입니다.

 

 

따라서, 웹 컨테이너가 인식하는 순서

(1) <servlet-mapping>에서 <url-pattern>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URL과 비교합니다.

(2) 동일할 경우 <servlet-mapping> <servlet-name>을 통해 <servlet>내의 <servlet-name>과 일치하는 <servlet-name>

    찾습니다.

(3) 일치하는 <servlet-name>이 있을 경우 해당 <servlet-name> <servlet-class>를 호출하게됩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lter  (0) 2015.02.23
JSP  (0) 2015.02.09
Servlet  (0) 2015.02.09
Web Server & Web Application Server  (0) 201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