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ramework

struts - struts-config 설정 두번째

3-1에서 한 설정을 비롯하여 몇가지 사항을 좀더 추가해 보았다.

 


  

우선 1번 박스안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살펴보면 이름만 다를 뿐 3-1에서 설정한 것들의 반복이다.

즉 게시판(보드)의 조회(list), 상세조회(read), 등록(regist) ,수정(edit), 삭제(delete)의 기능들을 설정해 놓은 것이다.

그런데 바로 위의 3번박스를 보면 1번 박스의 설정과 뭔가 비슷해 보이면서도 살짝 다름을 알 수 있다.

 

1번 박스와 같은 설정및 사용도 가능하지만 3번 박스와 같은 설정및 사용도 가능하다.

DispatchAction이란 유사한 액션을 하나의 DispatchAction에서 수행 할 수 있게 해준다.

(DispatchAction 클래스는 struts-extras-1.3.10.jar 에 들어있다)

1번 박스의 방식이 각각의 액션(서블릿으로 보면 됨)으로 나누어 주는 설정이라면, 3번 박스는 하나로 모은 요청들을 하나의 액션에서 처리하는 형식이다다. 그래서 파라미터로 메소드를 받는다(여기서 메소드는 list나 read등의 실행해야할 메소드를 구분하기 위한 키).

좀더 이해를 돕기 위해 3번 박스의 액션을 살펴 보겠다.



위와 같이 하나의 액션에 list, read, delete의 메소드들이 함께 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모든 기능들을 하나의 액션에 넣는 것이 아니라,list-read-delete 와 같이 사용자 추출 부분이 적을 때만 묶는다. 항목이 많아 진다면 그만큼 오버헤드 위험성이 높아진다.

 

2번 박스에서의 form-bean은 변수처럼 쓸 수 있게 해준다. ActionForm은 스트러츠 프레임 워크 부분에 적어놨으니 참고.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uts configuration  (0) 2015.02.11
struts - struts-config.xml 설정  (0) 2015.02.10
struts - web.xml 설정  (0) 2015.02.10
struts - 파일 복사  (0) 2015.02.10
struts framework  (0) 201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