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ruts - web.xml 설정 파일의 복사가 끝났다면 이제 설정부분에 들어간다. 우선 서블릿 만들기를 선택한 후 생성창이 뜨면 하단에 있는 옵션을 선택한다 그 후 action이라 치면 ActionServlet이라 뜰 것이다. 이것을 선택하자. 여기서 url 맵핑은 *.do로 고치겠다.즉, '모든것.do' 로 요청되는 것들은 모두 Struts의 액션 서블릿으로 보낸다는 말이다.앞서 말했듯이 Struts는 서블릿의 관리를 위해 우선 처음에 무조건 하나의 통로(액션 서블릿)로 모은 후 각각의 액션(서블릿으로 보면 된다)으로 보낸다. Finish를 눌러 완료 후 WEB-INF 밑에 있는 web.xml파일을 확인해 보자.올바르게 됐다면 다음과 같은 설정이 추가되어 있을 것이다. [출처] Struts 간단 설정 2 - web.xml설정|작성자 .. 더보기
struts - 파일 복사 Struts는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설정을 비롯한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 쓸 수 있다.그래서 Struts를 쓰기위한 기본적인 설정을 해 보도록 하겠다.(참고로 Struts2가 아닌 Struts1이다) 우선 Struts를 다운 받아야 한다.다운을 받아야 한다면 http://struts.apache.org/download.cgi#struts1310 에서 struts-1.3.10-all.zip 파일을 다운 받은 후 적절한 곳에 압축을 풀어놓자. 압축을 풀고 폴더를 살펴보면 apps라는 폴더와 lib 폴더가 있을 것이다우선 lib폴더에 있는 struts-core-1.3.10.jar파일을 복사해서 쓰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에 추가한다.(개발툴은 이클립스를 사용했다. 참고로 자바웹프로젝트는 자바프로젝트와 달리.. 더보기
web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란?: 웹 서버의 내부에서 서블릿 클래스 또는 JSP 파일을 실행하기 이한 실행환경을 재공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서블릿 클래스에 대한 웹 컨테이너를 서블릿 컨테이너, JSP 파일에 대한 웹 컨테이너를 JSP 컨테이너라고 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jsp와 서블릿을 사용한 웹서버는 크게 URL 주소의 해석을 맡아주는 HTTP 서버와 서블릿 또는 JSP 파일의 실행 요청을 처리해주는 웹 컨테이너로 구성됩니다. HTTP 서버: HTTP 서버는 단순히 어떤주소(URL)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그 주소에 미리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HTML 파일 혹은 이미지 등)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응답형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배포 서술자(Deployment Descriptor)란? :.. 더보기